리소스 모니터링 - dstat 사용법 리눅스 리소스 모니터링 - dstat 사용법 dstat 모니터링 이번에는 서버의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잇는 dsta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에서 dstat는 실시간으로 디스크별 I/O 사용량을 체크할수 있고 I/O 부하 유발을 주는 프로세스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read/write 속도를 확인 할수 있는 아주 간편한 리눅스 모니터링 툴이라고 합니다. DSTAT 설치 dstat 패키지 확인 [root@web /]# rpm -qa | grep dstat dstat 설치 [root@web /]# yum -y install dstat DSTAT 사용법 dstat 실행 확인 [root@web /]# dstat 네트워크 상태 확인 [root@web /]# dstat -n Recv : 입력받은 크기 .. 더보기 dig 명령어 - DNS네임서버의 정보 확인 dig 명령어 - DNS네임서버의 정보 확인 dig란?dig는 Domain Information Groper의 약자로 네임서버로 부터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툴입니다.dig 명령은 DNS 네임서버 구성과 도메인 설정이 완료된 후, 일반 사용자의 입장에서 설정한 도메인네임에 대한 DNS 질의응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 점검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합니다. dig 명령어 패키지 설치하기 dig 명령어 패키지 유틸리티 설치 [root@web ~]# yum -y install bind-utils dig는 dns query lookup을 하기 위한 bind-utils 패키지에 속해 있는 유틸리티입니다.리눅스 배포판에서는 nslookup이 사라지고 dig로 대체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dig 명령어 사용법 di.. 더보기 whois 명령어 - 도메인 정보 조회 whois 명령어 - 도메인의 이름의 소유자 확인 whois란? whois는 도메인 이름의 소유자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어떤 도메인의 소유자가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 리눅스에서 whois naver.com을 입력하면 그도메인의 소유자를 알수 있습니다.whois는 또한 해당 도메인 이름이 이미 다른 사람에 의해 사용중인지 확인하는 용도로 많이 쓰입니다. whois 명령어 사용법 whois 명령어 유틸 설치하기 [root@web ~]# yum -y install jwhois whois 도메인 정보조회 [root@web ~]# whois [도메인명 혹은 IP]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