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메모리 슬롯 확인 명령어 리눅스 메모리 슬롯 확인 명령어 리눅스 서버를 사용하다가 램(RAM)부족으로 인하여 추가해야 될 경우가 있다 하지만 자신의 서버에 램스롯이 몇개이고 남은 슬롯이 몇개인지 기억이 나지 않을때가 있다 그러때에 서버를 off하고 본체를 열어서 슬롯을 확인하여야 되는데 이번에는 서버 본체를 열지 않고 슬롯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dimidecode라는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system의 bios 및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 메모리 슬롯 확인 dmidecode -t 17 | egrep 'Memory|Size' 위 그림에보면 슬롯이 8개고 슬로 2개에 1G RAM이 꼽혀 있는것을 확인 할수 있다 더보기
리눅스 소유자 파일 찾기 리눅스 소유자 파일 찾기 이번에는 find 명령으로 nobody가 소유한 파일을 찾기, 변경해보도록하겠습니다 find 명령 : 시스템 내에 있는 파일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또는 디렉토리)을 찾음 찾은 파일에 특정 명령을 실행할수도 있습니다 특정 소유자의 파일을 찾을때 특정 사용자의 파일을 찾을때 명령어 : find / -user [찾을 소유자] -print # find / -user user_name -print -pint 는 검색결과를 파일의 절대경로로 표시한다 특정 소유자의 파일을 찾을때 명령어 : find -uid [소유자 id] ls -l {} \; # find / -uid 500 ls -l {} \; - exec ls -l \;는 ls -l과 같은 형식으로 검색결과 표시한다 find를 이.. 더보기
리눅스 wc 명령어 리눅스 wc 명령어 리눅스 wc 명령어리눅스 wc 명령어 텍스트 라인수를 구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 이며 grep과 같이 많이쓰는 명령어 입니다 wc : 문서가 몇 줄 단어로 이러져 있는지 한번에 세어줍니다 wc 명령어 사용법 : wc [옵션] [파일명] [Option]-c : 문자수만 보여준다-m : 캐릭터수만 보여준다-l : 라인수만 보여준다-w : 단어수만 보여준다 -L : 가장 긴줄 한줄만 보여준다 더보기